
TAIGA TAKAHASHI USMD CONVALESCENT JACKET MUD DYED BROWN
1940년대 미국산 호스피탈 재킷을 기반으로 제작한 제품이다. 호스피탈 재킷이란 군 병원에서 부상 병사들이 외출할 때 대여해주던 재킷을 의미한다. 1941년 5월 21일자 뉴욕타임즈에는 미군이 최초로 부상 병사용 의류를 디자인하고, 그 색상으로 MAROON을 채택했다는 기사가 실려 있다. MAROON은 ‘밝고 명랑한(Cheerful)’ 이미지를 갖고 있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국민들에게 활기를 주기 위한 상징성과 동시에 세탁 내구성 측면에서도 채택된 것으로 보인다. T.T에서는 이 MAROON 컬러를 천연 염색으로 재현하고자 여러 차례 시도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MAROON보다 자줏빛이 도는 BURGUNDY 색상을 채택하였다. 요코사(가로실)를 고밀도로 짜넣은 새틴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염색 전 처리로 실켓 가공을 실시해 뛰어난 발색과 고급스러운 질감을 구현하였다. MUD DYED BROWN은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의 전통 염색 기법인 ‘니오도메(泥染め, 진흙 염색)’를 적용하였으며, 한 장씩 정성스럽게 염색되기 때문에 모든 제품이 서로 다른 표정을 가지는 유일무이한 개체로 완성된다. 천연 염색의 특성상 이염이나 색 빠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공의 특성상 제품마다 질감과 발색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940年代のアメリカ製ホスピタルジャケットをベースに製作したアイテムである。ホスピタルジャケットとは、軍病院で負傷兵が外出する際に貸与されていたジャケットを指す。1941年5月21日付の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には、米軍が初めて負傷兵用の衣服をデザインし、その色としてMAROON(マルーン)を採用したという記事が掲載された。MAROONは「明るく陽気な(Cheerful)」印象を持ち、第2次世界大戦当時、人々に活気を与える象徴として、また洗濯耐久性の面からも選ばれたとされる。T.TではこのMAROONカラーを天然染色で再現するために何度も試行を重ね、最終的にマルーンよりも紫がかったBURGUNDY(バーガンディ)カラーを採用した。緯糸を高密度に織り込んだサテン生地を使用し、染色前にシルケット加工を施すことで、鮮やかな発色と上品な質感を表現している。MUD DYED BROWNは奄美大島の伝統染色技法である「泥染め(ニオドメ)」を採用しており、一枚一枚丁寧に染め上げるため、それぞれが異なる表情を持つ唯一無二の仕上がりとなる。天然染色の特性上、色移りや退色が起こる場合があり、加工の特性上、製品ごとに風合いや色味に個体差が生じる。
This piece is based on a 1940s American hospital jacket. “Hospital jackets” were garments lent to injured soldiers when leaving military hospitals. An article in The New York Times dated May 21, 1941, reported that the U.S. Army had designed its first clothing for wounded soldiers, choosing the color MAROON. The color MAROON was selected not only for its “cheerful” image that could uplift the public during World War II, but also for its durability in repeated washing. At T.T., numerous attempts were made to recreate this MAROON shade using natural dyeing, eventually resulting in the adoption of BURGUNDY—a deeper tone with a purplish hue. The fabric is a tightly woven satin with densely packed weft yarns, treated with mercerization before dyeing to achieve rich coloration and a refined luster. The MUD DYED BROWN version employs Niudome (泥染め), a traditional mud-dyeing technique from Amami Oshima, where each piece is hand-dyed to create a one-of-a-kind texture and tone. Due to the nature of natural dyeing, color transfer or fading may occur, and slight variations in texture and finish are inherent to the process.
Made in Japan
Material
Cotton 100%
Purchase: In store only